티스토리 뷰

갈수록 풍습과 절기가 약해지고 있지만, 선조들은 계절의 변화에 따른 절기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습니다. 24 절기 중에서도 곡우(穀雨)라는 절기는 봄의 마지막을 알리는 절기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곡우의 뜻과 내용, 풍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곡우의 뜻

 

1. 곡우(穀雨)의 뜻

곡우의 한자 뜻은 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한다라는 뜻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겨울이 지나고 봄이 온 후, 한차레 지나가서 이제는 봄의 마지막 무렵에 농사를 잘 지을 수 있는 시작점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농촌에서는 이 곡우 시기에 씨앗을 뿌리고, 땅을 갈구고, 여름을 대비하면서 작물을 심는 때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달력에서는 이 시기를 음력으로는 3월 중순으로 나타내고 있고, 양력에서는 4월 20일 경을 곡우 절기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완전한 봄 날씨가 펼쳐지는 시기 이기 때문에 농작물들을 심기가 좋고, 언 땅도 완전히 풀리고 비까지 내려서 작물들을 심기에 최적인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곡우의 뜻

 

 

2. 곡우때에 많이 먹는 전통 음식

곡우 때는 이제 막 봄의 완연한 기운이 돋아나는 시기 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산나물들을 주로 먹습니다. 봄나물에 해당하는 쑥, 냉이, 취나물, 달래, 등이 대중적인 산과 들에서 나는 나물이고, 두릅과 죽순도 봄에는 부드럽게 새순을 잘라서 먹을수먹을 수 있기 때문에 좋습니다. 쑥으로는 떡도 먹을 수 있고, 어류에서는 숭어가 맛있다고 하여 곡우 시기에 맞춰 별미로 먹기도 합니다. 지역마다 절기에 따른 음식도 다르기 때문에 곡우 시기에 먹는 산나물과, 먹거리들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기도 합니다.

 

벼기르기

 

3. 곡우때 하는 농사일과 풍습

곡우때는 한 해의 농사를 시작하는 시기로서 여러 가지 준비 작업을 하며, 첫 수확을 이루기도 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선 찻잎을 딸수 있기 때문에 새순이 올라왔을 때 찻잎을 따서 말리고, 우려내서 마시는 전통이 있습니다. 또 곡우기에는 의외로 봄비가 내려야 함에도 내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곡우 시기에 비를 내려달라는 기원을 빌기도 했습니다. 나물채취는 당연히 해야 하는 시기 이기 때문에 이 시기에만 먹을 수 있는 나물을 채집하는 일 또한 많은 사람들이 하는 일이었습니다. 논밭에 뿌릴 종묘와 파종준비도 당연히 해야 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시기를 놓치면 한 해 농사는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곡우는 농경사회에서 중요한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기 때문에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는 속담까지 있는 것을 보면 과거 선조들의 지혜가 곡우에도 여전히 작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곡우의 상세한뜻

 

 

아무리 사회가 변화되었다고 해도 농사를 통한 작물로 사람이 먹고 사는 것은 여전히 이어질 것입니다. 곡우의 뜻과 풍습에 대해서도 더해서 알고 있다면 사람 사는 이 사회가 자연의 섭리가운데 있다는 것을 다시금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이상 곡우의 뜻과 풍습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