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직장인의 비애는 바로 4대 보험금을 빼고 나면 실수령액이 얼마 남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보통 그래서 직장인들은 다른 회사로 이직을 할 때 세후 월급이 어느 정도 주는지가 큰 관심사입니다. 보그래서 연봉 협상때도 협상할 때 금액과 실제 통장에 찍힌 금액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의욕을 떨어뜨릴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각종 인플레이션과 월급에서 공제되는 금액을 비요해 보고 실제 수령행이 어느 정도 인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월급계산기로 실 수령액인 세후 월급을 파악하는 방법을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월급 계산기로 직접 가실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이동해 주시면 됩니다.
목차
1. 월급에서 제하는 4대 보험료
4대 보험료는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고용보험과 산재 보홈을 말합니다. 각각의 보험은 내는 사람 입장에서는 반강재적 입장이긴 하지만, 개인의 일상을 지켜주는 버팀목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내기는 싫지만 꼭 내야하는 반강제적 보험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4대 보험료율은 매해마다 조금씩 달라질 수 있지만, 현재 요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민연금 |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4.5% 부담 |
건강보험 |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0.9% 부담 |
고용보험 |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3.545% 부담 |
산재보험 | 업종에 따라 다릅니다 |
2. 월급의 실수령액
세전 비용으로 연봉을 측정하고 연봉협상을 하지만 실제 받는 금액은 세후입니다. 그래서 생각보다 적게 월급이 들어오는 착시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래서 미리 월급에 대해서 대략적인 금액을 파악하는 게 좋습니다. 근로계약서상에 3000만원이라는 금액으로 연봉을 계약했다면 세후에는 세금을 제한 2700만 원 정도가 들어온다고 보면 됩니다.
그럼 4대보험료를 제외한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연봉으로 3000만원을 받기로 했다면 매월 공제액은 26만 원 정도 되면 실수령 월급은 224만 원 정도 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국민 연금 금액이 갈수록 증액될 예정이니 그부분에 대해서는 아래 글을 참조해 주시면 됩니다.
이상 월급 께산기로 실수령 월급 계산해 보기를 찾아봤습니다. 아무래도 돈에 연관되는 부분이다 보니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실 텐데요, 필요한 부분을 찾아보시고 참조하시길 바랍니다.